08 4월 100세 + @시대
[vc_row el_class="text"][vc_column][vc_column_text css=""] 100세 시대? “더 살아서 뭐하나” 아프면 말짱 “꽝” 옛말. 노화, 질병 이겨야 100+@세 시대 온다. - “차라리 실버타운을 들어갈까? 월 100만원이면… - 순식간에 찾아올 노년 준비 얼마나 되어있나? - 관절, 눈, 당뇨, 암, 심혈관 등 무조건 오는 질병 인류의 기대수명은 19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50세를 넘지 못했다. 100년동안 평균 1년 늘어나는 수준에 그쳤던 기대 수명은 20세기 보건과 의학의 폭발적인 발전으로 급격히 늘어나기 시작했다. 노년의 인구는 증가하고 출산율은 역대 최저치. 두 가지를 모두 극복해야 하지만 본 기사에서는 늘어나는 노년인구에 집중하고자 한다. 노화 또는 후천적인 사유로 노인들의 질병이 ‘위험수위’라는 지적이 부쩍 늘어나고 있다. 한국의 노인들은 전 세계 주요국 노인들에 비해서 아프다. 지난 2022년 노인 건강복지 기구가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의 66세 이상 노인 인구 중 하나 이상의 질병을 가지고 있는 인원이 전체의 40.4%를 기록했다. 다른나라와 비교하여 평균치인 14.2%보다 3배 수준으로 높은 것은 물론이고 22.8%를 기록한 미국이나 20.2%를 기록한 일본보다도 한국 노인의 질병율은 훨씬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우울증으로 자살하는 인구는 10만명당 42.2명으로 OECE국가 평균인 16.5명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60대는 30.7명, 70대가 39명이었고 80대는 59.4명으로 가장 많았다. 지방자치단체에서 하는 노인건강관리 프로그램이나 돌봄 시스템들도 운영은 하고 있으나 실효성에는 의문이 드는...